본문 바로가기
정치.사회.시사

더불어민주당 국제위원회, 이재명 대표 Washington Post 인터뷰

by 가온샘 2025. 2. 15.
728x90
반응형

·이재명 대표를 ‘한국의 차기 리더 (South Korea’s likely next leader)’로 소개하며 기사를 시작 

·이재명 대표를 두고, “대통령으로 가장 유력하다 (heavy favorite to become South Korea’s next president)”고 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워싱턴포스트 보도 Wasjomgtpm Post

 

·이날 기사에서 워싱턴 포스트는 이재명 대표의 외교가 과거에 비해 뚜렷하게 변화했다고 평가 

-> “Lee is taking a markedly more nuanced foreign policy stance than in the past.” 

 

·미-중 관계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한국의 지정학적 어려움에 대해 한국이 (미중 관계의) 최전선에 서 있다고 표현 

-> “It’s an issue of managing a balance,” Lee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Washington Post on Thursday. “The problem is that South Korea is on the front lines” of a challenging geopolitical landscape in the Asia-Pacificregion. 

 

·이재명 대표는 미국이 중국에 대해 오롯이 적대적 정책만, 혹은 오롯이 협력적 입장만을 지속적으로 취하지 않는 점을 짚으며, 한국은 대중 외교정책도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적응할 필요하다고 강조  

-> “The United States does not consistently pursue a solely antagonistic or solely cooperative stance toward China,” he said, adding that Seoul must also adapt its approach to Beijing, its largest trading partner. 

 

·이재명 대표는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분명 바람직한 일이라 함. 따라서, 미 정부가 한국의 민주당 정부 하에서의 한-미 동맹, 한-미-일 협력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과도한 걱정, 불필요한 기우임을 강조 

-> Lee said strengthening the tr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Japan was theright thing to do. Washington doesn’t need to “excessively” or “unnecessarily” worry about the strength of thealliance under a Democratic administration, he said. 

 

·“민주당이 한-미 관계를 손상시키려 한다면... 대한민국이 미국과의 관계를 좋지 않게 해서 도대체 얻을 것이 무엇이 있겠나? 중국과의 관계에서 취하는 것보다 미국과의 관계 악화로 잃는 것이 더 많을 것”라는 말로 한-미동맹의 중요성, 한-미-일 협력의 의지를 재차 강조함 

-> “If the Democratic Party tries to damage the South Korea-U.S. relationship … what would we gain from that? We would lose more from the deterioration of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han it would gain from only taking China’s side, he said.  

 

·이재명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과의 대화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힘. 이에 워싱턴 포스트는 2019년에 아베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을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most beautiful”이라고 했던 일화를 소개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대화 및 북미관계에 괄목할만한 진일보를 이우러 낸다면 민주당이 노벨평화상 후보로 트럼프 대통령을 추천할 수 있다고 한 이재명 대표 발언도 함께 소개함 

-> “I hope there will be a situation within this year under which we as a party officially nominate Trump for the Nobel Peace Prize,” he said. “If there is significant progress on the nuclear and missile issues on the Korean Peninsula, it would be beneficial for everyone.” That could be music to Trump’s ears: When Japan’s former prime minister, Shinzo Abe, nominated him for the same award in 2019, he called it “most beautiful.” 

 

·이어 워싱턴포스트는 이재명 대표의 가난했던 어린 시절과 소년공 이야기를 소개하며, 이후 노동변호사, 인권변호사로의 성장이 “세상의 다양한 면과 어두운 면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이재명 대표의 말을 전해 

-> Lee grew up in poverty, working in sweatshops as a teen to help support his family, clocking in and out instead of attending middle school. An accident at a glove factory leftone arm permanently deformed. He eventually became a labor and human rights lawyer. After serving as Seongnam mayor, he became the governor of Gyeonggi province, just outside Seoul. These varied life experiences helped him “understand the dark sides and other aspects of the world,” he said, and gave him empathy for his constituents. 

 

·이재명 대표가 롤모델이 누구인지를 묻는 워싱턴 포스트의 질문에 뉴딜정책을 성공시킨 루스벨트 대통령과 김구 선생을 꼽았다는 것도 언급 

-> He names former U.S. president Franklin D. Roosevelt as a role model for his pro-labor New Deal policies, as well as Kim Gu, a famous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지난해 있었던 암살 시도에 대한 질문에 “당시에 정말 죽는구나라고 느꼈으며, 암살시도를 당한 이후의 삶을 덤으로 생각하게 되었으며 더 여유롭게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답변한 이재명 대표의 말을 강조 

-> Last year, Lee survived an assassination attempt after a man stabbed him in the neck during an event. “I collapsed and looked at the blue sky and thought, ‘Oh, that sky will soon disappear from my sight. This must be death,’” Lee said. “Now, the time I have left feels like a bonus. It made me a freer person, less worried about the preciousness of my life.” 

 

·12·3 비상계엄 당시 이재명 대표가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당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하고, 국민들께 함께 해 달라고 요청했던 일화를 소개. 해당 유튜브 영상의 조회수가 300만 넘었다는 것을 강조. 이재명 대표가 “계엄 당시 본인의 죽음은 두렵지 않았었다”라고 답한 것을 인용함 

->  That experience was on his mind on the night of Dec. 3, after Yoon declared martial law. Lee rushed to the National Assembly, where soldiers had gathered to prevent — unsuccessfully, it turned out — lawmakers from voting to reverse Yoon’s decree. As his wife drove him there, Lee started a live stream on his YouTube channel, asking the public to join him. “We need you to protect this country,” Lee said in the video, which has been viewed nearly 3 million times... I was braced for martial law soldiers surrounding me. I wanted to show them arresting me,” Lee said. “But Ididn’t fear them killing me.” 

 

·이날 워싱턴 포스트는 기사 전반에 걸쳐 이재명 대표의 실용주의 외교를 강조함  

 

2025년 2월 14일

더불어민주당 국제위원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