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원하는 ‘보증금만이라도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 주말, 또 한 번의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이른바 ‘건축왕’으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리던 20대 남성 피해자가 숨진 채 발견되었다는 소식이다. 3월 초 있었던 안타까운 소식에 이어 한 달 만에 또 한 청년이 안타까운 목숨을 잃은 것이다. 희생자 분들의 명복을 빈다.
지난해부터 전세피해가 증가하면서 정부는 국토부와 법무부 등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4차례에 이르는 재발방지와 피해자 구제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정부의 대책이 문제를 ‘유예’하는 것이라는 지적 해왔다. 이제는 피해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보증금만이라도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는’ 대책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한 언론은 올 한 해만 1조 8,500억 원에 달하는 전세사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한만큼 전세사기 피해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재난’이 될 여지 역시 남아있다.
그간 더불어민주당은 더 이상의 피해를 막고 피해자들을 구제하기 위한 방안 마련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위기대책위 역시 지난 2월 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피해 지원센터를 방문해 모든 대책들이 사고 발생 이후 예방을 어떻게 할 것인가 짜여 있는 구조에 대해 지적하고, 예방책 마련과 함께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제 방안 마련을 정부에 촉구한 바 있다.
다시 한번 정부의 전세사기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대책을 촉구한다.
피해자들이 원하는 ‘보증금만이라도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주택도시기금에서 먼저 피해구제를 한 후 향후 악성 임대인에 대한 재산 추적 등에 적극 개입하는 선지원 후구상권 청구 등의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국토부뿐 아니라 기재부·법무부 등 관련 정부 부처가 모두 참여하는 범정부 TF 구성 등 가용한 방안을 모두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대책이야말로 우리 사회의 신뢰도를 높이고 청년들에게 도움을 주는 정책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23년 4월 17일
더불어민주당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회
![](https://blog.kakaocdn.net/dn/cBPY3I/btsar5D3xlm/nBBKresuK47x5KThW2fIgK/img.png)
'정치.사회.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시민 칼럼] 사대(事大)와 사대주의(事大主義) (0) | 2023.04.18 |
---|---|
더불어민주당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 국민의힘 과방위는 국정 자해 세력인가 - 공영방송 장악에 눈먼 정부 여당 규탄한다 (0) | 2023.04.18 |
더불어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 윤석열 일가, 선거법 관련 불송치·불기소 행렬 VS 이재명, 재판 출석 회술레 ‘최고지도자’에게는 선거법이 적용되지 않습니까? (0) | 2023.04.16 |
더불어민주당 검찰독재정치탄압대책위원회, 검찰의 조작 본능, ‘CCTV는 모형’이라던 허위 주장의 근거를 밝히십시오 (0) | 2023.04.16 |
미국 기밀문서 파문 ‘부채질하는 언론, 곤혹스런 정부’ (0) | 2023.04.15 |
댓글